카테고리 없음

2025년 SK텔레콤(SKT) 위약금 면제 조건 및 절차

MINI-MORI 2025. 7. 5.

2025년 SK텔레콤(SKT) 위약금 면제 조건 및 절차 총정리

유심 해킹 사태 등 최근 이슈에 따른 최신 위약금 면제 기준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1. 위약금 면제 조건

  • 회사의 귀책 사유: SKT의 보안 문제 등 회사 책임으로 해지 시 위약금 면제
    예) 2025년 4월 유심(USIM) 해킹 사태 발생 시
  • 약정 기간 만료: 24개월 등 약정 기간이 끝나면 자동 면제
  • 특정 고객 우대: 고령자, 장애인, 10년 이상 장기 고객은 추가 감면 가능
  • 2025년 유심 해킹 사태 관련: 7월 14일까지 해지하는 고객은 위약금 면제 (정부·국회 인정)
TIP: SKT 이용약관 제43조, 제44조를 근거로 회사 귀책 사유 시 위약금이 면제됩니다.

2. 위약금 면제 절차

  1. 위약금 조회
    • T월드 앱: 마이페이지 → 나의 가입정보 → 해지 시 예상 비용 확인
    • 고객센터(114): 전화 문의로 예상 위약금 확인
  2. 해지 신청
    • 전화: 114로 위약금 면제 사유(예: 해킹 사태) 설명 후 해지 요청
    • 매장 방문: 직영점/대리점에서 본인 확인 후 해지 진행, 무료 유심 교체 병행 가능
    • 재약정 협상: 해지 의사 밝히면 요금 할인·사은품 등 제안 받을 수 있음
  3. 필요 서류: 해킹 사태 관련 해지는 별도 서류 불필요, 신분증 등 본인 확인만 필요

3. 2025년 유심 해킹 사태 관련 위약금 면제

  • 배경: 2025년 4월 유심 해킹 사태로 25만~500만 명 이탈 예상, SKT 3년간 최대 7조 손실 우려
  • 정부·국회 입장: 민관합동조사단 결과, SKT 귀책 인정 → 위약금 면제 가능 발표(7월 4일)
  • SKT 대응: 7월 14일까지 해지 고객 위약금 면제, 고객 안심 패키지·정보보호 혁신안 발표
중요: 7월 14일 이후 해지 고객에 대한 추가 면제 여부는 미정이니, 일정에 유의하세요.

4. 주의사항 및 실전 팁

  • 위약금 vs 단말기 할부금: 위약금은 약정 할인 반환, 단말기 할부금은 별도 청구(번호이동 시에도 계속 납부)
  • 형평성 논란: 장기·단기 고객 간 혜택 차이 발생 가능, SKT 신중한 결정 강조
  • 법적 논란: 일부 법조계는 해킹 사태가 위약금 면제보다는 배상 책임에 해당한다고 주장
  • 번호이동 사은품 활용: 타사 이동 시 사은품(현금, 상품권 등)이 위약금보다 클 수 있음
  • 약정 만료일 주의: 종료일 전날 해지 시 위약금 발생, 종료일 당일 해지 권장
  • 고객센터 문의: 우대 혜택, 유심 교체 등 궁금한 점은 114 또는 T월드 앱에서 확인
  • 유심 교체 병행: 불안하다면 무료 유심 교체(6월 기준 104만 건 완료) 후 해지 여부 결정

5. 최신 상황 (2025년 7월 4일 기준)

SKT는 정부 권고와 입법조사처 판단을 수용하여 7월 14일까지 해지하는 고객의 위약금을 면제합니다.
이는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한 고객 불안 해소와 이탈 완화를 위한 조치이며, 이후 연장 여부는 미정입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 단말기 할부금도 면제되나요?
A. 아니요. 위약금만 면제되며, 단말기 할부금은 별도 청구됩니다.
Q. 해지 시 어떤 사유를 밝혀야 하나요?
A. 유심 해킹 사태 등 SKT 귀책 사유임을 명확히 설명하면 됩니다.
Q. 고령자·장애인 우대는 어떻게 받나요?
A. 114 고객센터에 문의해 본인 조건에 맞는 추가 감면 혜택 여부를 확인하세요.
Q. 해지 후 번호이동 사은품은?
A. 타사로 이동 시 제공되는 사은품(현금, 상품권 등)이 위약금보다 많을 수 있으니 비교해보세요.

SKT 위약금 면제, 꼼꼼하게 확인하고 현명하게 결정하세요!

궁금한 점은 SKT 고객센터(114) 또는 T월드 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확한 약정 기간·할부금·혜택을 꼭 확인하세요.

댓글

💲 추천 글